칼럼

Search: 91건

thumbimg

이순희 사진전 <생명의 나무, 보이지 않는 존재>... 나무에 깃든 우주의 기를 드러내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2.12.09
숲이 없는 그리스 신화를 상상할 수가 있을까? 제우스 신은 상수리나무 가지 위 요람에서 자랐다. 그래서 상수리나무는 제우스의 어머니인 레이아를 상징했다. 북유럽신화에 나오는 최고의 신 오딘, 헤니르, 로두르 삼 형제는 물푸레나무와 느 ...

thumbimg

신기에 가까운 기술의 묘 <포정해우庖丁解牛>, 오늘의 공예를 위한 고전의 지혜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2.12.07
포정해우는 장자(莊子)의 양생주(養生主)에 등장하는 우화이다. 전국시대 양나라에 살던 소를 잘 잡는 포정이란 자가 있었다.(포정이란 요리사, 해우란 소를 잡는다는 뜻)어느 날 중국 전국시대 위나라 문혜군(文惠君)이 포정에게 소를 잡게 ...

thumbimg

그 많던 무량수전은 어디로 갔을까?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2.11.10
‘한민족이 가장 좋아하는 나무가 소나무’라는 말을 두고 “과연 그럴까?”라고 반문하던 한 사설 연구원이 있었다. 이 연구원의 주장은 이렇다. 어떤 조건에서 따져 보아도 침엽수인 소나무보다 활엽수인 느티나무가 월등하다는 것이다.그는 이 ...

thumbimg

천 년의 종이, 한·중·일 대결의 승자는?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2.09.12
서양의 종이가 보급된 이후 사양길에 접어들었던 한지의 맥이 다시 살아나고 있다. 천 년을 사는 종이로 불리던 전통 한지의 수명을 갉아먹었던 합리성은 오피스 공간에서 찾을 일이지 의식주의 질을 따져 묻기에는 표백제나 세척제, 형광물질을 ...

thumbimg

의자, 실체와 실존의 자리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2.09.05
자리(seating)의 사전적 의미는 사람이나 물체가 차지하고 있는 공간(space), 몸이나 물건이 어떤 변화를 겪고 난 후 남은 흔적(tracks),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지정한 곳(place)으로 정의하고 있다. ...

thumbimg

"공예 없음"... 공예의 존재를 규명하는 법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2.09.05
노자는 도덕경에서 이름이란 '없음'으로부터 실재성을 부여한 것으로, 원천으로부터 분별과 동시에 분쟁의 씨앗이라고 말한다.만약 국어 사전에서 ‘공예’라는 단어를 지운다면 어떤 상황이 될까. 어떤 공예는 미술과 조각, 어떤 공예는 오브제 ...

thumbimg

정명택 개인전, <덤벙주초: 사물의 궤도>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2.08.20
돌은 용암에 의한 광물질이거나 유기물로 이루어진 암석 덩어리이다. 그것은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의 일종으로 생성까지 최소 1억 년의 시간을 경과해야 한다. 돌은 인류에게 풍요, 항구성, 불변성, 구원성, 신비성의 대상체로 인류 문명 ...

thumbimg

공예가들이 짓는 ‘공예의 집’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2.06.22
<2022공예주간>은 올해 주제어로 “우리 집으로 가자”를 내세웠다. 한국공예디자인진흥원(KCDF)은 지난 4년간 “공예로 일상의 가치를 높이다”(2018), “우리가 공예를 사랑하는 방법”(2019), “생활 속 공예 두기”(202 ...

thumbimg

잘 알지도 못하면서
김은지 기자 2022.04.05
한동안 가구와 공예의 트렌드를 이끌었던 북유럽 디자인이 시들해지고, 다시 한국적인 미감에 주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덩달아 한국성, 그 중에서도 조선으로부터 내려온 전통을 주제로 한 책과 전시, 공간이 많아졌다. 늘어난 볼거리 ...

thumbimg

제1회 통영트리엔날레... 지역문화에서 국제예술제로 성장하는 발걸음 내딛어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2.04.04
표면은 이면의 시그널이다. 파도는 달의 중력으로 춤추고, 흔들리는 나무는 바람의 실존을 상징한다. 미술 오브제는 기능의 소유화, 시선의 사유화에서 벗어나 사물 스스로가 바깥세상을 인식하는 물질의 언어체계이다. 작가는 그 언어의 메시지 ...

thumbimg

비평적 관점에서 본 공예의 현재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2.02.19
프랑스 사상가, 소설가인 조르주 바타유(Georges Bataille, ~1962)는 인류의 진화 과정을 생존에서 놀이로, 노동에서 예술로 변한다고 보았다. 구석기시대에 등장한 호모 파베르, 즉 도구를 만들 수 있는 인류는 생존을 위 ...

thumbimg

<2021 공예트렌드페어>...미래 공예를 위한 변화를 모색하는 장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1.11.22
공예 분야 대표 행사인 2021 공예트렌드페어가 개막했다.입구에 들어서면 눈부신 조명 광장이 먼저 관객을 맞이한다. 그 위에 자리한 공예품을 제대로 보려면 잠시의 시간이 필요하다. 상영 중인 영화관을 막 들어선 것처럼. 페이드인으로 ...

thumbimg

<2021 공예트렌드페어>...공예의 ‘적당함’과 ‘적절함’을 가늠하는 자리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1.11.11
공예가로부터 한 해의 공예를 마감하는 <2021 공예트렌드페어>초대장을 받았다곰곰이 생각해보니, '공예'란 언어도 '디자인'과 함께 고작 100년을 넘나드는 외래종 낱말이었음에 새삼 낯설다. 그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여전히 공예의 적 ...

thumbimg

최상철의 무물(無物)...스스로 드러나는 존재들에 대한 경외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1.11.02
아무것도 아니거나 혹은 그래야만 했을 어떤 메타포가 깊은 울림에 갇혀 있다. 소리와 진동으로만 보고, 읽고, 들을 수 있는 이 내밀함의 전서(傳書)는 작가 최상철이 수신자의 우편번호를 지운 채 우송한 흑백 내러티브다. 작품 ...

thumbimg

전아현 개인전 <심산深山, 심산心山>... 상흔을 비추는 마음의 풍경을 만나다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1.10.02
10월 1일부터 강남의 PH식물관에서는 전아현 개인전이 열린다. 레진을 재료로 스케일과 독특한 기법을 구사해 세간에 관심을 받아온 전아현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작가의 내면에 고여 있는 상실과 고독의 덩어리를 심산에 흩뿌려 스스로의 정 ...

thumbimg

‘2021 공예주간’...공예로 떠나는 가을여행
강진희 기자 2021.10.02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과 함께 ‘공예로 떠나는 여행’을 주제로 10월 1일(금)부터 10일(일)까지 ‘2021 공예주간(Korea Craft Week 2021)’을 개최한다. 전국 6 ...

thumbimg

<공예의 이해-2> 한국 현대공예의 구조적 이해
최범 2021.09.29
한국 현대공예의 보편성과 특수성한국 현대공예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은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공예라는 말이 연루되어 있는 여러 겹의 의미 구조를 헤치고 들여다보는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먼저 공예 ...

thumbimg

국제갤러리, 국내외 대표 작품으로 2021 아트 바젤(Art Basel 2021) 참가
유재형 기자 2021.09.14
국제갤러리는 오는 9월 24일부터 26일까지 스위스 메세 바젤(Messe Basel)에서 개최되는 ‘2021 아트 바젤(Art Basel 2021)’에 참가한다. 세계 최대 아트페어의 명성을 이어온 아트 바젤은 팬데믹 사태 이후 유럽 ...

thumbimg

손신규 개인전 <이질과 대칭> : 완전한 존재를 위한 ‘이것’의 현상
육상수 칼럼니스트 2021.09.14
나무도마 최대의 상극은 금속으로 만들어진 날카로운 날을 지닌 칼이다. 나무는 그 칼의 집요한 내리침에 속절없이 당하면서도 자기 몸을 조금씩 내어주는 만큼의 금속을 갈아 삼켜 날을 무디게 한다. 나무와 금속의 이질적 물성은 극도의 대칭 ...

thumbimg

<공예의 이해-1> 공예의 의미, 역사적 변용과 현대적 상황
최범 2021.08.30
공예의 의미와 역사공예는 손으로 만든 물건이다. 이보다 간단하면서도 완벽한 공예의 정의는 없다. 공예의 정의는 만 년 전이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하지만 정의가 공예의 모든 것을 말해주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공예의 정의에는 역사적으 ...